경주 동궁과 월지는
신라 왕궁의 별궁터이다. 다른 부속건물들과 함께 왕자가 거처하는 동궁으로 사용되면서, 나라의 경사가 있을 때나 귀한 손님을 맞을 때 이곳에서 연회를 베풀었다고 한다. 신라 경순왕이 견훤의 침입을 받은 뒤, 931년에 고려 태조 왕건을
초청하여 위급한 상황을 호소하며 잔치를 베풀었던 곳이기도 하다. 신라는 삼국을 통일한 후 문무왕 14년(674)에 큰 연못을 파고 못 가운데에 3개의 섬과 못의 북동쪽으로 12봉우리의 산을 만들었으며, 여기에 아름다운 꽃과 나무를 심고 진귀한 새와 짐승을 길렀다고 전해진다. 고려시대의
『삼국사기』에는 임해전에 대한 기록만 나오고 안압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으며, 이 후 신라가
멸망하고 고려와 조선에 이르러 이곳이 폐허가 되자, 시인 묵객들이 연못을 보며 "화려했던 궁궐은 간데없고 기러기와 오리만 날아든다."는
쓸쓸한 시 구절을 읊조리며, 이 곳을 기러기 ''안''자와 오리''압''자를
써서 ''안압지''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 후 1980년대 ''월지''라는 글자가 새겨진 토기 파편이 발굴되며, 이 곳이 본래 ''달이 비치는 연못''이라는 뜻의 ''월지''라고
불렸다는 사실이 확인 되어 ''안압지''라는 이름은 ''동궁과 월지''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일제강점기에 철도가 지나가는 등 많은 훼손을 입었던 임해전 터의 못 주변에는
1975년 준설을 겸한 발굴조사에서 회랑지를 비롯해서 크고 작은 건물터 26곳이 확인되었다. 그 중 1980년에 임해전으로 추정되는 곳을 포함하여, 신라 건물터로 보이는 3곳과 월지를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곳에서는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었는데, 그 중 보상화(寶相華) 무늬가 새겨진 벽돌에는
''조로 2년(調露 二年, 680)''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어 임해전이 문무왕때 만들어진 것임을 뒷받침 해주고 있다. 대접이나 접시도 많이 나왔는데, 이것은 신라무덤에서 출토되는 것과는
달리 실제 생활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임해전은 별궁에 속해 있던 건물이지만 그 비중이 매우 컸던
것으로 보이며, 월지는 신라 원지(苑池)를 대표하는 유적으로서 연못 가장자리에 굴곡을 주어 어느곳에서 바라보아도 못 전체가 한눈에 들어올 수 없게 만들었다. 이는 좁은 연못을 넓은 바다처럼 느낄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 신라인들의 예지가 돋보인다.
이용안내
문의 및 안내
|
054-750-8655 / 054-750-8650 |
홈페이지
|
|
주소
|
경상북도 경주시 원화로 102 |
이용시간
|
09:00~22:00 (매표 및 입장 마감시간 21:30) |
휴일
|
연중무휴 |
입 장 료
|
개인 : 성인 3,000원, 청소년/군인 2,000원, 어린이 1,000원 |
주차
|
가능 |
점자블록
|
출입구까지 경사로가 설치되어 있음(보행로 대부분 흙길) |
휠체어
|
대여가능 |
장애인 주차 안내
|
장애인 주차장 있음_무장애 편의시설 |
화장실
|
장애인 화장실 있음 |
안내요원
|
전시해설자 있음(문화해설) |
접근로
|
출입구까지 경사로가 설치되어 있음(보행로 대부분 흙길) |
유모차
|
대여가능(3개,탐방안내소) |
출입통로
|
주출입구는 턱이 없어 휠체어 접근 가능함 |
점자블록
|
점자블록 있음(횡단보도 앞)_시각장애인 편의시설 |
오디오가이드
|
음성안내어플 제공(음성안내QR코드) |
(주)애디슨랩스 대표이사 : 박완기 사업자번호 : 465-87-02040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서초 14211호 주소 :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18길 5, 3층 (반포동, 위너빌딩)
(주)비오스는 통신판매중개자로서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니며, 상품의 예약, 이용 및 환불 등과 관련한 의무와 책임은 각 판매자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