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남아있는
가장 큰 종으로 높이 3.75m, 입지름 2.27m, 두께 11∼25㎝이며, 무게는 1997년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정밀실측한 결과 18.9톤으로 확인되었다. 신라 경덕왕이 아버지인 성덕왕의 공덕을 널리 알리기 위해 종을 만들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그 뒤를 이어 혜공왕이 771년에 완성하여 성덕대왕신종이라고 불렀다. 이 종은 처음에 봉덕사에 달았다고 해서 ''봉덕사종''이라고도 하며, 아기를 시주하여 넣었다는 전설로 아기의 울음소리를
본따 ''에밀레종''이라고도 한다.
종의 맨 위에는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音筒)이 있는데, 이것은 우리나라 동종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독특한 구조이다. 종을 매다는 고리 역할을 하는 용뉴는 용머리 모양으로 조각되어 있다. 종
몸체에는 상하에 넓은 띠를 둘러 그 안에 꽃무늬를 새겨 넣었고, 종의 어깨 밑으로는 4곳에 연꽃 모양으로 돌출된 9개의 유두를 사각형의 유곽이 둘러싸고
있다. 유곽 아래로 2쌍의 비천상이 있고, 그 사이에는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가 연꽃 모양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몸체 2곳에는 종에 대한 내력이 새겨져 있다. 특히 종 입구 부분이 마름모의
모서리처럼 특이한 형태를 하고 있어 이 종의 특징이 되고있다. 통일신라 예술이 각 분야에 걸쳐 전성기를
이룰 때 만들어진 종으로 화려한 문양과 조각수법은 시대를 대표할 만하다. 또한, 몸통에 남아있는 1,000여 자의 명문은 문장뿐 아니라 새긴 수법도
뛰어나, 1천3백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손상되지 않고 전해오고
있는 문화재로 앞으로도 잘 보존해야 할 것이다.
이용안내
문의 및 안내
|
054-740-7500 |
홈페이지
|
|
주소
|
경상북도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
지정현황
|
[성덕대왕신종] 국보 (1962.12.20 지정) |
(주)애디슨랩스 대표이사 : 박완기 사업자번호 : 465-87-02040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서초 14211호 주소 :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18길 5, 3층 (반포동, 위너빌딩)
(주)비오스는 통신판매중개자로서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니며, 상품의 예약, 이용 및 환불 등과 관련한 의무와 책임은 각 판매자에게 있습니다.